
안녕하세요
팩트를 기반한 이야기만 전달드리는
팩토리입니다.
오늘은 근로시간을 계산할 때 많이 나오는
한 달이 왜 4.345주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쉬운 내용이라 가볍게 시작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소정근로시간이 209시간이라는 것을 계산할 때나,
주휴시간을 한 달 단위로 계산할 때나,
또는 근로계약이나 근로조건 등을 계산함에 있어서,
한 달이라는 기준을 잡을 때
어떤 달은 5주, 어떤 달은 4주일 때가 있어서
애매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근로조건을 계산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한 달이 몇 주인지 약속하고,
계산을 하고 있는데요.
그게 바로 한 달은 4.345주라고 통상적으로 계산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4.345주가 어떻게 나오는지는 아래 그림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의 계산식의 설명처럼
4.345주로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계산을 위해 알아야 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번. 1년은 365일이다.
2번. 1년은 12개월이다.
3번. 1주일은 7일이다.
위 세 가지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 달이 약 몇 주인지를 계산할 수 있는 겁니다.
계산식처럼 1년은 365일인데,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그 값은 30.41666667일입니다. 이는 1년에서 한 달(1개월)이 약 며칠인지를
값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그럼 한 달이 약 30.41666667일이라는 것을 우리는 알았고,
1주일은 7일이기 때문에 이 값을 다시 7로 나누면,
위에서 처럼 4.3452380952381(주)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단순히 1년은 365일이고, 1년은 12개월이고, 1주일은 7일이라는 사실로
도출해 낸 값이 위의 저 복잡한 4.345·····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여기서 저 긴 숫자를 모두 사용할 수는 없기에,
통상적으로 소수점 세 번째 자리까지만 사용하여
우리는 한 달을 4.345주라고 하는 것입니다.
알고 보니 참 쉬운 개념이죠?
앞으로 근로시간 계산하실 때
한 달이 4.345주라는 것을 알고 계시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 직장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식은 근로시간에 포함되는 것일까?" [근로시간 인정 여부] (0) | 2023.09.11 |
---|---|
"왜 1주에 52시간만 근무가 가능할까?" [법정 근로시간, 주 52시간] (0) | 2023.09.11 |
"나의 주휴시간과 주휴수당은 어떻게 될까?" [주휴시간, 주휴수당 계산방법] (0) | 2023.09.07 |
"나는 4대보험에 가입되는 걸까?"[4대보험 가입조건, 4대보험 가입대상] (0) | 2023.09.06 |
"나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 조건, 구직급여 조건]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