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팩트를 기반한 이야기만 전달드리는
팩토리입니다.
오늘은 내 시급은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내 시급이 얼마인지 알아야 하는 이유는
혹시라도 내가 연장근무 혹은 휴일근무,
야간근무를 하게 되었을 때
내 시급을 기준으로
연장근무수당이 측정되기 때문에
알아두어야 제대로 계산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예시처럼
내 월 급여(통상임금)를
한 달 근무시간으로 나누면 시급입니다.
다만 여기서 조심해야 할 점은
내 급여에 고정연장수당(or 고정 OT)과 같이
포괄임금 형태로
고정연장수당이 들어가 있다면,
해당 금액을 제외한 월 급여(통상임금)를
소정근로시간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결론은,
내 시급을 알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은 2가지입니다.
1번. 나의 월급(통상임금)
2번. 나의 한 달 근로시간
두 가지를 계산하면
나의 시급을 알 수 있습니다.
직접 해보실 수 있도록
시급계산하는 파일도 같이 첨부하겠습니다.

해당 첨부파일에
본인의 급여(기본급 및 기타 수당)와
본인의 1일 근무시간,
1주일 근무일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시급이 계산되게끔 설정하였습니다.
그 밖에
소정근로시간 구하는 법과
관련해서 궁금하시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소정근로시간 계산해보기" [1주일, 주휴시간, 한달 근무시간 계산]
오늘은 1주일 근무시간, 주휴시간, 한달 근무시간 계산하는 방법을 파일로 공유드리겠습니다. 본인의 1일 근무시간과 1주일간의 근무일수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1주일 근무시간, 주휴시간, 한달
jiwhy.tistory.com
통상임금에 관하여 궁금하시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 바랍니다.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이 뭘까?" [평균임금, 통상임금 뜻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정의와 계산방법에 대해서 가볍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대한 알아보기 쉽게 노력중이나, 처음 접하는 분들껜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것 같네요.
jiwhy.tistory.com
'◈ 직장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 조건, 구직급여 조건] (0) | 2023.09.05 |
---|---|
"근로계약서 작성할 때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 [근로계약서 명시 내용, 작성시기] (0) | 2023.09.01 |
"식대는 비과세라는 건 무슨 말일까?" [식대보조금 비과세 뜻] (0) | 2023.08.14 |
"소정근로시간 계산해보기" [1주일, 주휴시간, 한달 근무시간(209시간) 계산] (0) | 2023.08.11 |
"퇴직금 계산해보기" [퇴직금 계산방법]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