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토리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 직장인 정보

"퇴직금 계산은 어떻게 할까?" [퇴직금 통상임금, 평균임금]

Jiwhy 2023. 8. 7. 11:08
728x90

퇴직금 통상임금, 평균임금

안녕하세요

팩트를 기반한 이야기만 전달드리는

팩토리입니다.

 

오늘은 퇴직금을 계산할 때

평균임금통상임금

어떤 거로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게 나에게 더 유리한지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바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퇴직연금을 가입하고 있어서,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는 경우

많이 없으시겠지만,

만약 일시금으로 받는다면 어떤 경우가 더 나은지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여러분 모두 알다시피

퇴직금은 퇴직 전 3개월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지급받습니다.

근데 왜 통상임금평균임금을 비교해야 할까요?

 

정답은, 평균임금통상임금을 비교했을 때

통상임금이 평균임금 보다 높다면,

퇴직금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생각보다 통상임금평균임금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내가 평소에 시간 외 수당(연장근무 수당)이

많은 경우가 아니라,

고정적으로 받는 급여가 더 많다면

거의 90% 이상은 통상임금이 높으실 확률이 높습니다.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시의 급여 부분파란색으로 한 부분은

임의로 시간 외 수당을 포함하여 산정한 금액이고,

보라색으로 한 부분은

고정적으로 매월 240만 원의 급여를 받는

근무자에 대하여

평균임금통상임금으로 나누어서 계산해 보고자

설정한 내용입니다.

 

3번의 퇴직금계산식 안에 있는

1번2번평균임금(일급)통상임금(일급)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임금(일급)과 통상임금(일급) 구하는 법

 

위의 식에 대입하여 평균임금통상임금

일급을 구한 뒤,

다시 예시의 3번 퇴직금 계산식에 대입하여

계산한 퇴직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떠신가요? 생각보다 금액차이가 많이 나죠?

평균임금으로 3개월간 받은 돈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임금으로 계산하는 식과

평균임금으로 계산하는 식이

다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금액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금액차이는 근속일수가 더 길 수록

더 많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아마 5년 이상, 10년 이상 근무하신 분들은

많게는 몇 백만 원까지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평균임금통상임금에 따라

퇴직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봤습니다.

계산 방법이나 퇴직금이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문의하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